한국전기안전공사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국내 감전 사고 절반의 원인이 산업재해라고 분석되었습니다. 이 콘텐츠는 환기팬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해 전선 작업을 진행하다 메인 분전반에서 전원을 실수로 켜는 바람에 발생된 감전 사고 체험을 재현하여 분전반 작업 시 필요한 감전 사고 주의 요소들을 강렬한 사고 체험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발표된 통계 자료에 의하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감전사고 중 원인의 절반이 산업재해라고 분석되었습니다.
지난 2010년부터 발생한 감전사고 중 49.7%가량 기록을 남긴 산업재해 감전사의 주된 원인 중에 하나는 안전조치, 보호구 미착용 등의 이유도 있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작업 간의 소통이 함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전류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유관으로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기 작업 시에는 전류의 공급과 차단 신호를 주고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전류가 흐르는 것을 모른 채 접촉할 경우에는 아차 하는 순간 화상에서 즉사까지 찰나의 순간에 김잔사고가 일어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늘 주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감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규정에 의해 작업자, 안전관리 감독자들에게 꾸준한 안전교육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사물을 실제로 보고 만지는 등 경험을 통한 실습이 교육 효과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은 이미 많은 칼럼과 보도자료들을 통해 접할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VR안전교육은 직접 체험을 하며 현장 실습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 주된 형태입니다.
가상현실 안에서 보고 만지고 잡는 등의 게임적 상호작용 요소를 도입하여 교육생들에게 더 높은 집중도와 몰입도를 보여주었다는 실험 결과는 매체를 통해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특장점을 활용한 교육용 실감 콘텐츠가 실제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면서 안전교육 시장에도 VR 도입이 적극 추진되었습니다.
VR안전교육 또한 가상 작업장 안에서 사물을 잡고 만지는 등의 인터렉션 기능을 추가하여 겪어보게 하고, 화면 중 주요 학습요소에 UI 그래픽 효과를 주어 정보 창을 띄어 바로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감전사고 안전교육에 VR콘텐츠 활용이 필요한 이유는 분전반을 직접 열어서 보여주고 안내하는 데 있어 현장의 어려움이 따르고 실제 작업 현장에서 교육을 한다는 것은 위험성을 동반함은 물론,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감전사고를 경험시키기 위해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지 않고도 경각심을 느끼도록 하는 것입니다.
조선소 분전반 감전 사고체험
조선소 분전반 감전 사고체험 은 밀폐 작업장 내에 환기팬 플러스를 연결하고자 했으나 차단기 트립으로 인해 메인분전반의 전원을 끄고 멀리 위치한 서브 분전반에서 전선 작업을 진행하던 중, 메인 분전반 주변에 있던 동료 작업자가 체험자의 작업 사실을 모른 채 전원을 켜게 되고 이에 체험자가 감전사고를 겪는 실제 사건을 각색하여 개발한 사고체험 VR안전 콘텐츠입니다.
체험자는 환기펜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해 분전반의 전원을 켜지 않고 분전반에서 떨어진 작업징에서 전선작업을 홀로 진행합니다.
메인분전반에 위치한 타 작업자는 체험자가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모른채 분전반의 전원을 켜고, 체험자는 흐르는 전류에 감전됩니다.
감전사고로 사망한 체험자는 이후 안전수칙 리뷰를 통해 전기작업시 지켜야할 안전 정보를 제공받습니다.
콘텐츠 내 사고체험만이 아닌
안전수칙 정보 및 인터렉션을 배치하여
실습훈련에 가까운 교육을 진행합니다.
사고 체험 후 전 상황으로 돌아가
안전사고의 문제점을 분석, 파악하여
위험요소와 안전수칙을 학습합니다.
구성화면을 직접 체크하여
사고방지를 위한 안전수칙 및 위험요소를
체험자에게 각인시킵니다.
조선소 내 작업현장 밀폐공간에서 도장작업을 준비 중인 체험자, 작업을 위해 진입 전 환기 팬을 설치하기로 합니다.
체험자는 컨트롤러로 환기 팬을 설치하기 위해 분전반으로 향합니다.
콘센트를 연결하기 위해 분전반의 덮개를 열고 환기팬 콘센트를 꼽습니다.
분전반에 환기팬 콘센트를 꼽은 뒤 아무런 작동이 하지 않자 체험자는 차단기를 on, off 합니다. 그리고 분전반과 콘센트 연결 간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하게 됩니다.
체험자는 분전반에 꼽아둔 콘센트를 다시 제거합니다. 이를 조치하기 위해 메인 분전반으로 이동을 합니다.
작업 위치의 서브 분전반에 콘센트 전선을 직접 연결하기 위해 전류를 차단하고자 체험자는 메인 분전반에 도착하여 전원을 끄게 됩니다.
문제가 발생한 분전반에서 작업을 위해 다시 원 위치로 이동합니다.
도착 후 서브 분전반의 안전덮개를 열고 환기팬 전선을 연결할 준비를 합니다.
드라이버를 이용해 환기팬 콘센트를 분해합니다.
분해한 콘센트 내부의 전선을 서브 배전반에 직접 연결합니다.
배전반 내부에 콘센트 전선을 직접 연결하는 도중 동료는 아무것도 모른 채 작업을 위해 Off 되어 있는 메인 분전반의 전원을 가동하게 됩니다.
밀폐공간 구역의 배전반에서 전선을 연결하던 체험자는 메인 분전반에서 전류가 공급되어 흐르자 곧바로 감전 사고를 당하게 됩니다.
체험자가 겪었던 에피소드의 실제 사고 사례 정보를 제공합니다.
체험자는 사고 이전으로 돌아갑니다.
체험자는 자신이 겪었던 분전반 감전 사고의 리뷰를 진행하고 안전수칙 학습을 수행합니다. 이때 사고 위험요소를 직접 체크하여 문제 원인을 파악하고 작업 간 위험요소가 될 행동들을 조치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올바른 작업을 진행하도록 체험자의 안전의식을 재고시킵니다.
3~5분 내외
HMD PC SET
한국어
─
기종 | PC | 모바일 | ||||||
분야 | 건설 기타 | 발전 | 조선 | 화학 | 전기 | 연구실 | 물류 | 생활 |
작업(설비) | 가설발판 용접 | 고소차 운송 | 그라인더 운전 | 밀폐공간 지게차 | 분전반 컨베이어 | 사다리 크레인 | 생활 기타 | 실험 |
사고 | 협착 교통사고 | 추락 지진 | 화재 질식 | 감전 낙하물 | 깔림 전도 | 충돌 충격 | 절단 기타 | 유해물질 노출 |
구성 | 사고발생체험 > 안전수칙학습 |
|||||||
웨어러블 | 햅틱장비 | 진동수트 | ||||||
인터페이스 | 컨트롤러 | 립모션 | 맨손인식 | |||||
이동방식 | 자유이동 | 컨트롤러 이동 | 자동이동 | 이동없음 |
현대중공업 VR 체험장
플랫폼 | HMD PC SET×3 |
콘텐츠 | #4 조선소 분전반 감전 사고체험 |
하드웨어 | ─ |
운영툴 | ─ |
체험장 | 3인 체험장 |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자세한 문의를 원하시면 아래 문의란을 이용해주세요.
원하는 구성에 맞는 견적을 원하신다면, XR SOLUTION PLAN을 이용해보세요.
(주)엠라인스튜디오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해 개인의 정보를 무단수집·이용하여 영리목적에 별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M-LINE STUDIO Inc.
[서울본사]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58길 17,
엠라인빌딩 (우 06259)
[울산지사] 울산광역시 동구 보성길 73,
울산 VR·AR제작거점센터 202호 (우 44056)
TEL : 02-999-7220
FAX : 02-6455-7221
EMAIL : contact@m-line.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