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9월, 화력발전소에서 임시로 설치한 작업발판대의 지주대가 무너져 근로자 3명이 10m 아래로 떨어지는 추락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들 중 한 명은 작업 전에 착용한 안 전 줄에 구조됐지만 2명은 사망했습니다.
가설 발판 추락 사고 체험 콘텐츠는 안전 체결 고리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사고 발생 시의 느낌이 극대화 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산업 재해 사망자들의 사고 원인을 정밀 분석한 보고 자료에 따르면, 전체 사망자 753면의 389%에 해당하는 293명이 가설 공사나 가설 구조물 관련 사고로 숨졌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대부분 가설 구조물을 제대로 설치하지 않았거나 상태가 불량한 비계나 거푸집, 동바리 등이 하중이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무너지면서 대부분의 작업자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입니다.
또한 감사원은 고용노동부와 국토교통부 등 11개 기관을 대상으로 한 ‘건설 자재 품질관리 실태’ 감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중 18개 건설 현장에서 자주 쓰이는 가설 기자재 116개 표본을 성능 시험한 결과, 54.3%가 불량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혀졌습니다. 이처럼 사고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가설 구조물 현장에서는 작업자 스스로가 자신을 보호해야 하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보호 장비에 크게 의존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지난 2018년 9월, 한 화력발전소에서 근무하던 작업자들이 추락 사고를 당했습니다.
화력발전소에서 임시로 설치한 작업발판대의 지주대가 무너져 근로자 3명이 10m 아래로 떨어지는 추락 사고가 실제로 발생했었습니다. 이들 중 한 명은 체결한 안전고리줄에 구조되어 목숨을 지킬 수 있었지만, 이외 2명은 안전고리를 체결하지 않아 그대로 떨어져 사망하였습니다.
이처럼 보호장구에 의해 생명을 지킬 수 있다는 실제 사례들과 정보를 바탕으로 산업안전 VR 교육이 개발되었습니다.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몰입형 사고체험 콘텐츠에 무게를 두었으며, 안전수칙을 반드시 준수할 수 있도록 강렬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는 실제 사례 사고들을 재구성하여 체험하게 하는 것이 기획의 바탕이었습니다. 사고를 가상현실로 체험해보고 원인과 문제점을 확인하여 파악하고 체험자의 안전불감증을 근절하도록 돕는 것이 산업안전 VR 교육의 주요 목표입니다.
발전소 가설발판 추락 사고체험
‘발전소 가설발판 추락 사고체험’ 은 발전소 내부 건설 현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추락 사고를 체험하는 산업 안전 VR 교육 콘텐츠입니다. 가설 발판을 디디며 철거 작업 중인 체험자는 이동 구간마다 안전고리(생명줄) 체결과 해제를 반복함에 귀찮음을 느낀 나머지, 결국 어느 구간부터 자신의 안전고리 체결을 무시하고 맙니다. 이때 이동 중 동료가 가설 발판의 이상을 느낄 때 발판은 이미 무너져버리고 체험자는 사고를 인지하게 됐을 때 안전고리 체결은 이미 늦은 생태로 끝내 추락 사고를 당하고 맙니다.
체험자는 가설발판 위에서 동료와 작업을 진행합니다. 이때 안전고리를 체결하며 이동하지만, 체험자는 이내 곧 귀찮음에 안전수칙을 무시하고 이동합니다.
작업도중 가설발판에 문제가 생기고 동료와 체험자는 추락하지만, 체험자는 체결고리를 체결하지 않아 사망사고로 이어집니다.
체험자 시야로 혈흔이 번지며 상황을 인지하게 합니다. 안전수칙 정보가 제공되며 사소해 보이는 안전고리 체결이 생사의 희비를 엇갈리게 한다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사고발생을 짐작케하는
인터렉션이 사고 원인의 직관적인 인지와
공포감 조성에 일조합니다.
콘텐츠 내 사고체험만이 아닌
안전수칙 정보 및 인터렉션을 배치하여
실습훈련에 가까운 교육을 진행합니다.
립모션을 활용해 별도의
컨트롤러 없이 직접 손동작을 인식하는
직관적인 인터랙션 수행이 가능합니다.
체험자는 자신이 작업할 현장의 출입부로 진입을 합니다.
관리감독자의 지시 하에 TMB(Tool Box Meeting)를 진행합니다.
작업자의 건강 상태 및 안전모, 안전화 착용 등을 재 점검 하고, 작업장의 작업 내용을 공유 받습니다.
체험자는 동료와 함께 작업 전 입출 기록을 남깁니다.
작업장 진입 전 공간의 산소 농도를 확인하고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 체험자는 동료와 함께 내부 밀폐 공간으로 이루어진 작업장으로 진입합니다.
고소 작업을 위해 가설 발판에 오른 체험자와 동료는 안전 고리를 체결합니다. 이때 체험자는 은연중에 체결고리의 걸고 해제함을 귀찮아하는 듯 내색을 표하지만 이에 동료는 안전고리는 곧 생명줄과 같다며 체험자에게 주의를 줍니다.
아무런 탈 없이 1차 구역의 비계 해체 작업이 완료됩니다. 이어 동료와 체험자는 다음 작업 구역으로 이동을 합니다.
이동 간에 반복적인 안전고리 체결과 해제가 반복됩니다. 체험자는 매우 귀찮음을 느낍니다. 그 와중에 종료는 가설 발판의 고정 상태가 이상하다며 의문을 갖게 되지만 체험자는 튼튼하게 고정되어 있을 거라 여기고 안전고리를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
가설 발판 위에서 일부 구조물 해체 작업을 위해 클램프에 고정된 볼트를 풀게 됩니다.
해체작업으로 인해 가설 발판의 구조가 약해지면서 이동 중에 가설 발판이 무너지고 맙니다. 체험자는 안전고리를 체결하지 않았음을 인지하기에는 이미 늦어버렸고, 결국 바닥으로 추락하게 됩니다.
가설 체험자의 시야에 혈흔이 번지고, 그 너머로 안전수칙 정보가 제공됩니다. 그리고 체험자는 자신이 간과했던 내용들을 되짚어 봅니다.
3~5분 내외
HMD PC SET
한국어
─
기종 | PC | 모바일 | ||||||
분야 | 건설 기타 | 발전 | 조선 | 화학 | 전기 | 연구실 | 물류 | 생활 |
작업(설비) | 가설발판 용접 | 고소차 운송 | 그라인더 운전 | 밀폐공간 지게차 | 분전반 컨베이어 | 사다리 크레인 | 생활 기타 | 실험 |
사고 | 협착 교통사고 | 추락 지진 | 화재 질식 | 감전 낙하물 | 깔림 전도 | 충돌 충격 | 절단 기타 | 유해물질 노출 |
구성 | 사고발생체험 > 안전수칙학습 |
|||||||
웨어러블 | 햅틱장비 | 진동수트 | ||||||
인터페이스 | 컨트롤러 | 립모션 | 맨손인식 | |||||
이동방식 | 자유이동 | 컨트롤러 이동 | 자동이동 | 이동없음 |
한국남동발전(주) VR 체험장
플랫폼 | HMD PC SET×20 |
콘텐츠 | #2 발전소 가설발판 추락 사고체험 |
하드웨어 | 3축모션×20 |
운영툴 | PC |
체험장 | 20인 체험장 |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자세한 문의를 원하시면 아래 문의란을 이용해주세요.
원하는 구성에 맞는 견적을 원하신다면, XR SOLUTION PLAN을 이용해보세요.
(주)엠라인스튜디오는 개인정보보호법에 의거해 개인의 정보를 무단수집·이용하여 영리목적에 별도 사용하지 않습니다.
M-LINE STUDIO Inc.
[서울본사]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58길 17,
엠라인빌딩 (우 06259)
[울산지사] 울산광역시 동구 보성길 73,
울산 VR·AR제작거점센터 202호 (우 44056)
TEL : 02-999-7220
FAX : 02-6455-7221
EMAIL : contact@m-line.tv